[건강정보] 혈압의 관한 오해와 진실
admin Date. 2025-03-18 Hit. 137

​[고혈압 :: 혈압에 관한 건강정보] 

혈압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?

고혈압은 초기 관리를 제대로 하지않으면

동맥경화, 뇌졸증, 심근경색 등 다양한 합병증의 원인이됩니다.

 

오늘은 이런 고혈압에 대해 알아보고

예방법과 관리를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
 

... 

혈압이란!?

심장의 심실이 수축할 때 압력이 오르고 

혈액이 나가면서 수축기 혈압이 만들어집니다.

확장기에는 대동맥판이 닫힌 후에도

대동맥 압력. 즉, 확장기 혈압이 유지됩니다.

일반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측정한 혈압은

120/80mmHg 미만이 정상혈압입니다.

 

▶ 고혈압 진단 기준


 범위

 수축기 혈압

 이완기 혈압

 정상 수준

 120 미만

 80 미만

 고혈압 전단계

 120-139

 80-89

 1기 고혈압

 140-159

 90-99

 2기 고혈압

 160 이상

 100 이상

 

 

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,

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에 해당됩니다.

 

▶ 고혈압 증상

- 두통, 어지러움

- 코피, 혈뇨

- 손발저림, 붓기

- 숨차고 두근거림


▶ 고혈압 합병증

고혈압을 초기에 관리하지 않고 방치해두면

고혈압 합병증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.

 

- 뇌졸증, 혈관성 치매

- 고혈압성 망막증

- 심근경색

- 심부전, 협심증

- 대동맥질환, 말초혈관질환

- 단백뇨, 만성콩팥염

 


▶ 고혈압 예방수칙

 

- 짜게 먹지 않기

- 적정체중 유지

- 매일 꾸준히 운동하기

- 지방 대신 채소 섭취

- 금주, 금연하기

- 정기적으로 혈압 측정

 


▶ 가정혈압 측정

 

□ 운동 후 1시간 지나고 측정

□ 혈압 측정 전 흡연, 음주, 카페인 금지

□ 화장실 다녀 온 후 5분 지나고 측정

□ 아침 기상 후 1시간 내, 저녁 취침 1시간 이내 측정

 

...

 

①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서 5분간 안정 취하기

② 커프는 심장 높이에 맞춰 맨팔에 감아주기

③ 말하거나 움직이지 않고 혈압 측정하기

④ 1-2분 간격으로 2회 측정 후 기록하기

 


 

▶ 건강 관리

 

□ 규칙적으로 유산소 운동하기

□ 음주는 하루 1-2잔 이내

□ 금연하기

□ 나트륨, 콜레스테로 자제

□ 충분한 채소, 과일 섭취

□ 주 2-3회 불포화지방산 섭취

□ 정상 체중 및 허리 둘레 유지하기